티스토리 뷰
<<국사노트 정리본: 선사시대부터 고대국가까지>>
<1> 선사시대 (역사시대와 구분: 문자 사용의 유무로)와 국가의 형성 1. 구석기시대 (BC 70만년) - 경기도 연천 전곡리, 충남 공주 석장리 - 뼈도구, 뗀석기 ▶ 사냥, 채집 - 주먹도끼, 찍개, 팔매돌, 긁개, 밀개, 슴베찌르개(후기 등장, 창의 기능을 함) - 동굴, 바위그늘, 막집 ▶ 후기: 막집 + 불 - 무리, 이동생활, 평등, 공동체 생활 - 조각품 (공주 석장리, 단양 수양개): 사냥감의 번성을 빈다. 고래& 물고기
2. 과도기 (중석기 시대) - 활 사용 - 잔석기 사용: 작살, 살촉, 이음도구 - 따뜻한 기후 ▶ 식물 채취, 고기잡이
3. 신석기시대 (BC 8000년) - 제주도 한경고산리, 서울 암사동, 강원 고성 문암리, 평양 남경, 강원 양양 오산리... - 간석기 ▶ 사냥 + 농경생활 (밭, 잡곡류): 소규모 경작/ 사냥, 고기잡이 비중 ↓ - 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농경굴지구) - 움집 (원형바닥): 중앙화덕, 반지하, 4-5인용, 저장구덩 존재 - 정착생활, 부족, 평등 생활 (족외혼, 책화) - 토기사용: 빗살무늬 토기,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눌러찍기무늬 토기 - 원시적 수공업: 가락바퀴, 뼈바늘 - 애니미즘, 영혼숭배, 조상숭배, 샤머니즘, 토테미즘 (농경/정착 생활 ▶ 자연의 섭리 생각) - 조개 껍데기 가면, 치레걸이
4. 청동기시대 (BC 2000년) - 만주~ 한반도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미송리식토기, 고인돌로 위치 파악) - 청동기 관련 장인 등장 -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홈자귀(석기) -> 간석기의 다양화, 나무 농기구 등장 가능성 有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청동기) - 토기 사용: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화분형, 팽이형, 적갈색), 붉은 간토기, 덧띠새김무늬토기 (청동기 시대 가장 이른 시기 대표) - 무덤: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 - 거석문화 (고인돌, 선돌, 입석): 탁자식/바둑판식 고인돌 - 밭농사 중심, 일부 벼농사 발달, 가축의 사육 증가 - 집터: 배산임수, 직사각형, 지상가옥(주춧돌 이용), 화덕을 벽으로 (4-8명), 주거 외 창고, 공동 작업장, 집회소, 공공의식 장소 존재 - 남녀유별: 여자는 집안일 남자는 농경과 전쟁 - 선민사상 - 사유재산제도&계급제도 (고인돌, 집터 크기로 구분), 빈부격차 有 - (북부부터 청동기, 철기 사용 시작 ▶ 정복활동 ▶ 계급문화 ▶ 족장) 족장 등장, 군장호칭 - 바위 그림: 울주 반구대 (고기잡이 성공, 풍성한 수확), 고령 양전동 (기하학 무늬, 태양숭배)
5. 철기시대 (BC 5세기) - 철제농기구 ▶ 농업 발달 ▶ 경제기반 활발, 발달 - 중국과 교류(청동 화폐인 명도전:연나라/제나라, 반량전:진나라, 오수전) - 철제무기, 철제연모 사용: 청동기의 의식용 도구화(기하학무늬, 주술적의미 +토우:흙으로 빚은 장식) - 청동기의 자주화: 세형동검, 잔무늬거울, 거푸집 (독자적 발전, 의식용도구화) - 한자 사용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 -붓) - 토기 사용: 민무늬 토기, 덧띠토기, 검은 간토기 - 무덤 : 널무덤, 독무덤
6. 고조선 (BC 2333년 건국) ① 건국 (기록: 삼국유사, 제왕운기, 동국여지승람): 단군왕검 (지배자 칭호) ② 범위: 요령지방중심 한반도 북부 ▶ 평양중심 (후기) : 비파형 동검,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③ 단군신화: 농경중심 (풍백, 우사, 운사), 선민사상 (환웅부족), 제정일치 (단군왕검), 사유재산, 계급분화, 형벌, 남성중심 사회 (8조법 근거), 토테미즘 (곰, 호랑이) - 8조법: 사람을 죽인자는 즉시 죽인다 / 남에게 상처입히면 곡식으로 갚는다/ 도둑질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④ 발전 (아래로 갈수록 시간 흐름) - BC 3세기 부왕, 준왕: 왕위 세습, 관직 有 (상, 대부, 장군), 요서지방 경계로 연나라와 대립 - 중국 전국시대 이후: 유이민 증가 (서쪽) - 진.한 교체기: 유이민 증가, 위만(1000명 무리, 준왕 시기) 들어와서 서쪽 수비 임무 ▶ 세력 확대 ▶ 준왕 x, 왕검성 차지 (BC 194) - 위만 조선: 철기문화 적극수용, 중앙정치조직, 활발한 정복사업, 중계무역 (예, 진, 한) ▶ 한과 대립▶ 한의 침략(수륙양면) ▶ 패수대승(고조선 win), 1년~ 대립 ▶ 지배층 내분, 왕검성 함락(BC108) - 한군현 설치 (60여조 율령) <-> 토착민 반발 - 고구려에 의해 소멸
7. 여러 나라의 성장 ① 부여 (고구려, 백제의 원류) - 지역: 만주 길림시~ 송화강 유역 - 발전: 1세기; 왕호 사용, 중국과의 외교관계 3세기; 북쪽의 선비족의 공격으로 쇠퇴, 남쪽의 고구려에 편입 (연맹왕국 단계에서 멸망) - 경제: 농경, 목축 ▶ 특산물: 말, 주옥, 모피 - 정치: 왕(중앙, 그러나 약함, 가들이 추대/ 왕의 부족세력이 강한 것, 궁궐, 성책, 감옥, 창고 보유) + 사출도 (마가, 우가, 저가, 구가 - 아래 대사자, 사자) ▶ 5부족 연맹체 - 풍속: 껴묻거리, 순장, 8조법과 유사한 법, 1책 12법, 우제점복 (소 굽). 영고(12월, 수렵사회전통)
② 고구려 (부여에서 내려온 주몽이 건국) BC 37년 - 지역: 압록강 가 졸본지방 (산악지대, 농토부족) - 발전: 건국초 주변소국정복, 평야지대 진출, 국내성 천도, 한군현 공략- 요동진출, 옥저 정복 - 경제: 약탈경제 - 정치: 5부족연맹체, 왕> 상가/고추가 > 사자/조의/선민, 제가회의 (중대범죄자 사형 결정) - 풍속: 서옥제(데릴사위제), 형사취수제, 조상신 숭배 (국동대현, 주몽과 유화부인) 동맹 (10월, 추수감사제), 1책12법
③ 옥저 - 지역: 함경도, 강원도 북부 동해안 (선진문물 수용 늦음) - 발전: 고구려의 지배, 군장국가 (읍군, 삼로) - 경제: 해산물 풍부(소금, 어물), 농경 발달 ▶ 고구려에 공납 - 풍속 :민며느리제 (매매혼), 가족공동묘 ◀ 시체가매장 (골장제)
④ 동예 (지역, 발전이 옥저와 동일) - 경제: 방직기술 발달 (명주, 삼베), 농경, 어로 풍부, 특산물 :단궁, 과하마, 반어피 - 풍속: 족외혼, 책화, 철(凸)자형/여(呂)자형 집터, 무천(10월)
⑤ 삼한 (진-고구려 남쪽의 진 + 고조선 유이민) - 지역: 마한 (천안 익수, 나주...경기, 춘천, 전라지역- 가장 크다, 목지국이 대표 ▶이후 백제) 변한 (김해, 마산 지역, 구야국 ▶ 가야), 진한 (대구, 경주 지역, 사로국 ▶ 신라) - 정치: 마한왕, 진왕 ▶ 삼한 주도 (세력 큰 지배자: 신지/ 작은 지배자 : 읍차), 군장국가x 제정분리 (제사장 천군-농경, 종교 의례주관/ 신성지역 소도-군장의 세력 x) : 고대 신앙의 변화 - 경제 : 농업(철제농기구, 벼농사, 저수지 축조), 수공업, 철생산 (변한)▶ 수출(왜, 낙랑), 교역에서 화폐처럼 사용 - 풍속: 초가지붕의 반움집, 귀틀집, 두레조직(공동체적 전통), 수릿날, 계절제 (5월,10월), 마한의 무덤(주구묘), 마한의 토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언급)
* 군장국가 :옥저, 동예 - 연맹국가: 부여, 가야, 삼한 - 중앙집권 고대국가 : 고구려, 백제, 신라 <2> 고대 1. 고대국가의 특징 - 삼국시대 ① 왕권강화 연맹왕국: 왕 선출, 왕권미약 (부여, 가야, 삼한) ▶ 고대국가 : 중앙집권, 왕위세습, 지방관 파견, 율령반포, 불교 수용, 정복전쟁 (고구려, 백제, 신라)
② 삼국시대의 경제 - 조세: 재산의 정도에 따라 호를 나누어 공물과 포 부과 - 공물: 지역특산물 - 역 :15세 이상 남자 (잡역부/군사) - 농업: 철제농기구 보급(4,5c 등장, 6c에 일반화), 저수지(밀양 수산제, 김제 벽골제), 황무지 개간 (경작지 확대) - 상업: 큰 도시에 시장 형성 - 수공업: 관청수공업 (노비) - 무역: 4c 낙랑축출 이후 중국무역 활발/ 일본과 무역 활발
③ 고대의 신분제 - 개인의 능력 < 친족의 지위 (개인의 신분 결정)
④ 성, 촌으로의 지방관 파견 부, 방, 주 (지방 장관) - 성, 군 (지방관) - 촌 (토착, 촌주: 지방관 보좌, 촌락 내 행정/군사 실무처리에 중요한 역할) - 이때의 지방 조직은 곧 군사조직
+ 이 시기에 한자(철기시대부터) + 이두 + 향찰을 글자로 사용!
2. 고구려 ① 동명성왕(BC37) - 고구려 건국 (삼국 중 가장 먼저 국가체제 정비, 중국문화를 일찍 접함) - 부여계 주몽집단 + 토착 세력 - 압록강 중류유역, 졸본성 ▶ 국내성 천도
② 태조왕 (53- 146) - 정복활동 활발히... 왕권안정 (형제세습) - 계루부 고씨 왕위세습 (독점) - 옥저, 낙랑 정복 활동 - 5부체제 형성 (5부의 정사처리는 국가 초에만 제대로 이뤄짐) ▶ 지배층 형성 (스스로 무장하여 전쟁참여: 씩씩한 사회기풍)
③ 고국천왕 (179- 197) - 왕권강화 - 부족적 5부 ▶ 행정적 5부 - 형제상속 ▶ 부자 상속 - 진대법 실시 : 가난한 농민구제 (환곡과 유사)/ 귀족견제
④ 3c 위나라의 침입으로 위축..
⑤ 미천왕 (300-331) - 4c는 중국의 5호 16국 혼란시대에서 위진남북조 시대로 넘어가는 시기 - 서안평 점령, 낙랑 축출 (313): 압록강 중류 지역을 벗어나 남쪽 진출의 발판 마련
⑥ 고국원왕 (331- 371) - 중국 전연의 침략으로 약화됨 - 요동지방을 놓고 백제와 전쟁, 백제의 근초고왕에게 사망 (평양성에서 전사)
⑦ 소수림왕 (371-384) - 지방 억제/ 왕권강화 (중앙집권화) - 율령반포 - 불교공인 (전진을 통해 들어옴), 전진과 수교(중국 북방과 무역) - 태학설립(수도 국내성에 설치, 유교 경전과 역사서 교육/ 귀족 자제만 입학가능)
⑧ 광개토대왕 (391-413) - 전성기! - 후연 격파, 요동 확보 (안주지방 대규모 정복 사업) -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 (광개토 대왕릉비 기록, 호우명 그릇... 신라에 간섭, 가야 약화초래) - 한강 이북 확보 - 연호 (영락) 사용
⑨ 장수왕 (413-491) - 전성기! 동북 아시아의 패자로 군림, 중국과 대등 - 중국남북조와 동시수교 (다면외교): 대립하는 두 세력 조종 (중국견제) - 평양천도 (427): 중원고구려비에 기록 (한강이남 진출) - 흥안령 일대 정복, 죽령 일대~ 남양만 연결하는 선까지 확장 - 남하정책: 백제의 개조왕 죽이고 한성 점령 (475) - 광개토대왕릉비 (만주길림성, 비문은 웅건한 글씨체), 중원고구려비(충주) 세움 ▶ 영토확장 증거 - 경당(지방)설립: 한학, 무술 - 평양에 안학궁 건축
⑩ 영양왕 (590-618) - 더이상 위진 남북조 시대x, 수와 대립 - 요서지방 선공, 수나라와 전쟁시작, 살수대첩 (을지문덕, 612) - 귀족연합체제 - 십자형 외교: 왜 -돌궐-고구려-백제 vs 신라 -수 (당) - 신집 5권 (이문진이 유기를 재편찬, 현재x)
⑪ 보장왕 (642- 668) - 당과 대립 - 요하 지역에 천리장성 축조 (연개소문이 감독하면서 요동 지방 군사력 장악) : 당의 침략대비 - 안시성 전투 승리 (양만춘, 645) : 중국의 한반도 침략 저지 - 나/당 연합군의 공격 + 연개소문의 사망 + 권력쟁탈전 => 평양성 함락 (668)
⑫ 고구려 부흥운동 - 한성(검모잠), 안승(금마저-예산), 오골성(고연무) (*이때의 한성은 장수왕 때의 한성과 다른 위치) - 일시적 평양성 탈환 - 신라의 지원있었지만 실패
cf. 천리장성 비교! 1. 7c에 고구려가 당의 침입 전에 요동지역에 축조 2. 10c에 고려가 요의 침입 후에 압록강변에 축조
⑬ 통치체제 - 관등: 10여관등 - 수상: 대대로 (막리지) - 지방: 5부 (욕살) - 특수구역: 3경( 국내성, 평양성, 한성) - 회의체: 제가회의
⑭ 풍습 - 엄격한 형벌 (1책 12법), 형사취수제, 서옥제(지배층) - 평민 자유연애가능, 예물보내는 매매혼x - 지배층이 투호, 바둑, 장기를 즐김, 한문 사용 - 백성은 대부분 자영농민
⑮ 문화 - 고분: 돌무지무덤 (만주집안, 장군총) ▶ 굴식돌방무덤 (벽화o, 널방, 앞방, 도굴o, 평양은 무조건 이 양식) - 고분의 벽화 : 초기- 생활그림, 철 생산 그림 ▶ 후기- 사신도(도교) (만주집안, 평안도, 황해도) - 고분석실, 천문도 (수학, 천문학 발달) - 불상조각 : 연가 7년명 금동여래입상 - 음악: 왕산악, 거문고 <일본전파> - 7c 담징: 종이, 먹 제조법 + 호류사 벽화 - 혜자: 쇼토쿠 태자의 스승 - 혜관: 불교전파 - 다카마쓰 고분 벽화 - 고구려 수산리 벽화와 유사
3. 백제 ----- 한성 시기 ---- ① 온조왕 (BC18) - 백제 건국 (고구려계 유이민: 우수한 철기문화 + 한강토착세력) - 한군현과 투쟁하면서 성장 - 왕족부여씨 + 8성귀족
② 고이왕 (234-286) - 한강유역 장악 - 관등제(16관등) 정비, 관복제 도입, 6좌평 (상좌평이 최고) (중국의 선진문물 받아 정치제제 정비) - 율령반포
③ 근초고왕 (346 - 375) - 전성기! - 고구려 공격(황해도를 두고 대결), 마한 56국 정복(통합, 전라도 남해안까지) - 왕위부자상속 - 가야 지배권 행사 - 요서, 산둥, 규슈 진출 (수군), 백제가 통치한 곳을 '진평'이라 부름 - 일본과 교류 (7지도: 금속기술의 발달) - 고흥, 서기 편찬 (현재 x)
④ 침류왕 (384- 385) - 불교공인 (382): 동진을 통해... 중앙집권의 사상적 뒷받침
⑤ 개로왕 (455- 475) - 고구려의 남하정책 시기, 고구려의 침략으로 개로왕 사망 - 일본의 정세 약화 (무역활동 침체, 경제약화) - 북위에 국서 - 나/제동맹 (개로왕과 눌지왕): 고구려 남하에 대응
---- 웅진 시기 ---- ⑥ 문주왕 (475- 477) - 웅진천도 (475) - 왕권약화, 귀족 세력의 정치 주도
⑦ 동성왕 (479- 501) - 다시 안정, 권력회복 - 신라와 결혼동맹 (동성왕과 소지왕): 고구려에 대응 - 탐라 복속 (498)
⑧ 무령왕 (501-523) - 백제 중흥의 발판 마련 - 지방 22담로에 왕족 파견 (지방의 통제 강화) - 남조와 교류: 양직공도, 무령왕릉(공주 송산리 고분군, 중국남조, 벽돌무덤)
---- 사비 시기 ---- ⑨ 성왕 (523-554) - 사비천도 (538) : 대외진출이 쉬움, 중국 남조와 활발한 교류 - 국호를 남부여로 - 불교진흥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교 전래) - 신라와 동맹 ▶ 한강 유역 일시회복 ▶ 관산성 전투(신라의 배신)에서 성왕 전사 ▶ 한강유역 상실 - 중앙 22부, 수도 5부, 지방 5방 정비
⑩ 무왕 (600-641) - 미륵사 건립 (전북 익산, 현존 최고(古),미륵자시 석탑: 서탑만 보존, 목탑 형태의 석탑)
⑪ 의자왕 (641- 660) - 정치질서 문란, 지배층의 향락 상태 ▶ 사비성 함락 후 멸망 - 신라(김유신) + 당(금강하구) vs 백제(계백) : 황산벌 전투 ▶ 사비성 함락 (660)
⑫ 백제부흥운동 - 임존성(흑치상지), 주류성(복신, 도침) ▶ 왕자 풍 추대 (200여개의 성 회복, 4년간 저항) - 왜 수군의 지원 (663, 백강 전투) ▶ 나당 연합군의 진압
⑬ 통치체제 - 관등: 16관등 - 수상: 상좌평 - 중앙관서: 6좌평, 22부 - 지방행정: 5방(방령): 700-1200명의 군사 - 특수구역: 22담로 - 회의체: 정사암회의
⑭ 풍습 - 고구려와 유사: 상무적 기풍(말타기, 활쏘기), 1책 2법, 3법 - 중국문화에 익숙, 투호, 바둑, 한문...
⑮ 문화 - 고분: 계단식 돌무지 무덤(초기한성시기, 고구려계통, 서울 석촌동) ▶ 굴식 돌방무덤(웅진시기)/ 벽돌무덤(무령왕릉) ▶ 굴식 돌방무덤 (규모 小, 사비 시기, 능산리) - 고분벽화: 한성시기부터 사비시기까지 사신도 벽화제작 - 도교: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부여 능산리, 사비시기) - 불교: 서산 마애 삼존불, 부여 정립사지 5층석탑 (안정적, 미륵사지 계승, 사비시기, 부여 능산리) - 교육: 5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 유교경전, 기술학 공부 <일본전파> - 가장 많은 영향을 줌 - 4c 아직기: 한자 전파, 왕인: 천자문, 논어 전파 - 6c 노리사치계: 불경, 불상 전파 - 고류사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호류사 백제 관음상 전파 - 백제 가람양식 전파 4. 신라 ① 박혁거세 (BC57) - 사로국에서 출발 + 경주 토착세력 + 유이민 - 경주토착세력이 주도, 6부족연맹체 (왕 선출: 박, 석-석탈해 집단-, 김) - 군장국가, 이사금 호칭 사용 (연장자)
++ 신라의 왕호 변화 거서간/차차웅(제정분리) ▶ 이사금 (연장자, 박,석,김 3부족연맹) ▶ 마립간 (대군장, 김씨왕위세습시기, 4c 내물왕시기) ▶ 왕 (중앙집권, 부자상속제 확립, 6c 지증왕시기)
② 내물왕 (356-402) - 낙동강 진한 지역 차지 (활발한 정복활동) - 김씨왕위세습 (내물계 직계) : 성골만 왕위세습 - 마립간(대군장) 호칭 사용 -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 격퇴( 광개토대왕 호우명그릇) ▶ 이후, 고구려의 내정간섭 + 간접적으로 중국문물 접함
③ 눌지왕 (417-458) - 불교 수용 - 왕위부자상속 - 나제동맹 (433, 개로왕과 눌지왕,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대응)
④ 소지왕 (479-500) - 6촌 ▶ 행정적 6부 - 나제 결혼동맹 (동성왕과 소지왕)
⑤ 지증왕 (500- 514) - 전성기! - '신라' 국호사용 (신라: 왕의 덕업이 날로 새로워져서 사방을 망라한다) - 우산국 복속 - 수도, 지방의 행정구역 정리 - 우경 시작 - 동시/ 동시전 설치 (수도)
⑥ 법흥왕 (514- 540) - 전성기!, 중앙집권 국가체제의 완비 - 율령반포 - 병부설치 - 상대등 설치 (화백회의에서 상대등 지위 재정립) - 공복제정, 17관등제 (각 부 하급 관료 조직 흡수) - 골품제도 (혈연에 따라 사회적 제약, 경주사람 대상으로): 관등승진 상한선, 일상규제 - 독자적 연호 '건원' 사용 (자주국가의 위상 ↑) - 금관가야 정복 - 불교 공인 (새로 성장하는 세력 포섭): 이차돈 순교, 불교식 왕이름 사용(왕즉불), 귀족과 왕권의 밀착, 업설, 미륵불 신앙
⑦ 진흥왕 (540 - 576) - 전성기! - 불교 교단 정비 (사상적 통합 도모) - 화랑제 개편: 국왕 권위↑, 인재등용제
++ 화랑제: 원시사회 청소년 집단에서 유래한 것으로 귀족(화랑)-평민(낭도) 계급간의 대립과 갈등을 조정, 제천의식 기능o, 원광의 세속 5계로 규범제시, 미륵불과 관련, 임신서기석(화랑의 유교경전공부)
- 한강유역 장악 (단양적성비-고구려공격-, 북한산 순수비-조선후기 김정희가 밝힘-): 당항성 건설 ▶ 중국과 직교 (전략거점으로 경제 강화) - 대가야 정복 (창녕비) - 함경도 진출 (마운령, 황초령비)
++ 비석의 순서: 단양 - 관산성 전투 - 북한 - 당항성 건설 - 대가야 정복 - 창녕 - 마운령, 황초령
- 거칠부의 국사 편찬 (현재x) - 황룡사 건축
+그 다음 왕이었던 진지왕은 화백회의에 의해 폐위당함
⑧ 선덕여왕 (632-647) - 황룡사 9층탑 건축(이후 진평왕때 몽고침입기로 인해 소실) - 첨성대 설치(가장 오래된 천문대), 하늘과 연결된 왕의 권위
⑨ 진덕여왕 (647-654) - 고구려에 동맹시도 (김춘추- 실패) ▶ 나당연합 (648)
⑩ 무열왕 (654- 661) - 황산벌 전투 ▶ 백제 멸망 (660) - 최초 진골 출신 왕: 이후 무열왕 직계 자손의 왕위세습 - 집사부 장관 시중 기능 강화: 상대등 세력 약화 ▶ 진골 귀족의 세력약화
⑪ 문무왕 (661-681) - 고구려멸망 (668) ▶ 고구려 부흥운동을 지원 - 당의 야욕: 웅진도독부(백제, 금강쪽), 안동도호부( 고구려지역), 계림도독부( 경주) 설치 - 매소성 전투 (675), 기벌포 전투(676, 설인귀) 승리 : 안동도호부 축출 - 삼국통일 이룩 (676) - 만파식적 전설/ 감은사지 3층석탑 ▶ 왕권강화를 나타냄
⑫ 통치체제 - 관등: 17관등 - 수상: 상대등(귀족회의주관- 왕권견제) - 중앙관서: 병부, 집사부... - 지방행정: 5주 (군주) - 특수구역: 2소경(북원경, 중원경) - 회의체: 화백회의
⑬ 풍습 - 신라초기전통 유지: 화백회의(왕권견제, 귀족단결, 만장일치제), 화랑도
⑭ 문화 - 금속: 신라금관 出 모양 - 불상: 경주배리석불입상 (미소) - 도교: 산천숭배, 신선사상 - 고분: 돌무지덧널무덤 (도굴x, 천마총-천마도-벽화x 그림) ▶ 굴식돌방무덤(6c 진흥왕때부터)/ 돌무지덧널무덤 (통일신라시기에는 없어짐, 오로지 신라때만) - 탑: 황룡사 탑, 분황사탑(벽돌모양 석재) - 글씨 : 김생( 질박하고 굳센 글씨체) - 그림: 솔거/ 천마도 - 음악: 백결선생 ▶ 방아타령 <일본전파> - 조선술, 축제술(한인의 연목)
++ 고구려,백제,신라의 영향으로 일본 6c 아마토 조정 성립/ 7c 아스카 문화
* 삼국의 건국순서 신라 - 고구려 - 백제 * 삼국의 중앙집권화 순서 고구려 - 백제 - 신라 * 삼국의 전성기 순서 백제 - 고구려 - 신라
*불교 - 미륵: 미륵불이 미래에 나타나 이상적인 불국토를 건설 - 아미타: 극락왕생함 - 관음: 현세고난구제
5. 가야 ① 성립: 낙동강 하류 변한 지역, 유이민 세력 (철기문화 토대로 농업 생산력 증대) ② 전기가야연맹(3c): 김수로, 금관가야 중심, 백제, 가야, 왜의 동맹, 벼농사, 철수출, 중계무역(낙랑, 왜-해상교통이용) ↓ 4c 초 백제, 신라 팽창으로 약화 4c 고구려군대의 진출로 연맹체 와해, 낙동강 동부 상실 ③ 후기가야연맹 (5c): 대가야중심, 낙동강 북서부, 고구려에 저항, 신라와 결혼동맹 (6c 초) ④ 법흥왕에게 금관가야 멸망( 가야 남부지역- 신라와 백제가 분할점령) 진흥왕에게 대가야 멸망으로 해제(562) ⑤ 문화 - 가야의 금관 山 모양 - 우륵-> 가야금/ 12악곡 <일본전파> - 토기제작기술
++금관가야: 대성동 고분/ 대가야: 지산동 고분 6. 통일신라 - 태종 무열왕 (654-661) - 문무왕 (661-681) ....(신라부분 참고)
---- 신라 중대 ---- ① 신문왕 (681-692) - 김흠돌 모역사건 ▶ 귀족 세력 숙청, 왕권강화 - 9주 5소경 정비 (지방 행정 체제 완비) ++ 통일신라의 지방행정체제 (중앙행정은 6부) 9주: 행정적 기능 강화/ 5소경: 군사, 행정상 요지, 수도의 편재성 보완, 지방의 균형발전 도모 특수행정구역: 향, 부곡 / 감찰 기능의 외사정 파견, 지방세력 견제를 위한 상수리 제도
- 국학 설치: 유학교육기관 - 군사제도 : 9서당 (중앙) 10정 (지방9주 + 군사구역 한주에 1주 더) ++ 통일신라의 민족융합 정책 9서당의 구성원: 고구려, 백제, 말갈, 신라/ 이외에 백제, 고구려 지배층에게 관직을 줌
- 녹읍(노동력o) 폐지, 관료전 (노동력 x, 문무관리에 차등o) 지급, 식읍 제한: 귀족측의 경제기반 약화 - 6두품(강수:외교문서 작성, 설총:유교 경전, 이두정리, 한문교육 보급공헌으로 유명)과 왕권의 결탁: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 행정실무 관리 - 중앙조직: 집사부 아래 13부 설치 (위화부:인사, 창부:재정, 사정부:감찰....등)
② 성덕왕 (702-737) - 백성에게 정전 지급
③ 경덕왕 (742-765) - 녹읍 부활 (귀족세력강화) - 사원면세전 증가 (국가재정압박) - 국학 ▶ 태학 (박사, 조교, 논어, 효경)
④ 혜공왕 - 권력다툼에 피살당함
---- 신라 하대 ---- ⑤ 선덕왕 (780-785) - 무열계에서 내물 방계로 왕위세습 변경
⑥ 원성왕 (785-798) - 독서삼품과 시행: 유교경전 이해 수준으로 시험/ 골품제에 의해 실패 (788) - 김헌창의 난 : 진골 간 왕위쟁탈전 ▶ 귀족세력강화/ 지방통제력 약화
⑦ 소성왕 (798-800) - 김헌창의 난으로 세워진 왕 - 청주 거노현으로 국학생의 녹읍을 삼음 (유교, 유학 장려)
⑧ 진성여왕 (887-897) - 기강문란, 재정바닥 - 최치원(6두품)의 개혁 10여조 제시 (무시) - 원종, 애노의 난 (상주)
⑨ 경순왕 (927-935) - 신라 멸망
⑩ 신라 중대의 문화, 풍습 (신문왕~혜공왕) - 진골 귀족의 정치 장관직 독점 (성골 x) - 지방의 행정과 군사 분리 (지방관이 군지휘관x), '도독' 명칭 - 골품 중 1-3두품의 구분 x, 평민화 - 주체적 문화인식: 화랑세기(김대문), 고승전, 한산기(한산주의 지방 지리지) - 석굴암,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다보탑(8c),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세계최고古목판인쇄물,석가탑에서 발견), 감은사지 3층석탑 ++ 통일 신라의 전형적 탑 모습 2중 기단 위에 3층 석탑 ▶ 하대에 가면서 기단에 부조조각 나타남
- 불교: 원효(일심사상, 아미타신앙, 불교대중화), 의상(화엄사상, 부석사, 아미타신앙, 관음신앙), 혜초( 왕오천축국전- 인도~중앙아시아 기행전) - 고분: 작은 굴식돌방무덤 + 둘레돌, 12지신상( 경주의 김유신 무덤), 화장 유행 - 일/월식, 혜성의 출현, 기상 이변 등 관측 기록 多 (삼국사기) - 범종: 상원사종, 성덕대왕 신종
⑪ 신라 하대의 문화, 풍숩 (경덕왕~) - 자연재해 ▶ 초적 증가, 지방반란 (적고적의 난) - 호족 성장 (스스로 성주, 장군 호칭/ 반독립적, 반신라적) ++ 호족: 몰락중앙귀족, 무역종사자, 군진세력, 지방토착촌주로 구분
- 6두품 (도당유학생 ▶ 최치원: 당 빈공과 급제, 개혁10여조 제시했으니 실패) - 불교: 교종(경전 이해) < 선종 (실천 수행) ▶ 9산선문 - 풍수지리설 ↑ (도선- 선종승려) ▶ 신흥 세력 성장, 지방의 중요성 증가 - 골품제 비판, 사회개혁 추구
-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 (기단, 탑진에 불상) - 8각원당형 ▶ 승탑, 탑비 (선종) - 법주사 쌍사자 석등
⑫ 경제 - 조세: 약 1/10 정도 - 공물: 촌락단위로 지역특산물 - 역: 군역(요역), 16- 60세 남자 - 농업: 시비법 발달x, 병작반수↑ - 상업: 동시 외에 서시,남시 추가 설치 - 무역: 공무역/ 사무역 증가 (당항성을 통해 무역) : 당( 비단, 서적, 사치품, 서역 상품 수입/ 마직물, 금은세공품, 해표피, 인삼 수출), 일본과 교류 (8c 이후), 이슬람상인 (울산무역으로) - 장보고: 완도, 청해진, 남해, 황해 무역권 장악 (이후 중앙 왕위쟁탈전 개입) - 산둥반도, 양쯔강 하류에 신라 방, 촌 증가 ++ 산둥반도와 양쯔강 하류 신라방, 신라촌: 신라인의 거주지/ 신라소: 신라자치기구 / 신라관: 여관/ 신라원: 절/ 법화원 존재
- 민정문서: 촌락크기, 인구수, 소말수 기록, 청주(서원경)에서 발견, 촌주(대가로 토지받는)가 작성 ▶ 민정문서를 기반으로 조세, 부역, 공물 수취/ 매년 조사, 3년마다 수정, 나이따라 6등급, 사람수 따라 호는 9등급
⑬ 일본 전파 - 원효, 강수, 설총 ▶ 하쿠호 문화 설립 - 심상 (화엄사상) ▶ 화엄종 - 일본에서 8c 말 헤이안 천도하면서 외국문화에서 벗어나고자 함
7. 발해 ① 고왕 (698-719) - 대조영, 발해건국 (당시 중국은 당) - 고구려 유민 + 말갈집단 (왕족인 대씨 + 귀족 고씨가 지배층/ 주민 중 대다수가 말갈인) - 길림성 돈화시 동모산 기슭 - 신라와 함께 남북국 형성, 고구려 계승의식 (문화의 유사성- 모줄임구조(정혜공주묘), 온돌, 돌사자상, 일본에 보낸 국서)
② 무왕 (719-737) - 영토 확장, 북만주 일대 장악 (흑수부말갈이 당에 연결시도/ 신라 북방경계 확대) - 당과 적대: 산둥지방 선제공격 (장문휴, 732), 흑수부말갈 정복, 당과 요서지방을 두고 대립 - 돌궐, 일본과 연결 <-> 당, 신라 견제 - 연호 '인안' 사용
③ 문왕 (737-793) - 불교적 성왕 - 당과 친교, 당의 문물 수입 (당에서 산둥반도 덩저우 위에 발해관 설치), 당의 빈공과 응시 - 신라와 상설 교통로 개설 (신라도: 8c 후반부터 9c 전반에 많이 이용): 상경- 동경-남경-동해안-신라 - 상경 천도 (중경 ▶ 상경), 상경의 절터 多, 주작대로 (당의 문물) - 독자적 연호 '대흥' 사용 - 불교의 성행 (왕실, 귀족 중심)
④ 선왕 (818-830) - 전성기! 해동성국 - 대부분의 말갈인 복속, 요동지역 진출, 남쪽으로 영토 확장해 신라와 국경을 접함 - 지방제도 정비: 5경 15부 62주
⑤ 애왕 - 내부 귀족 권력투쟁 +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 (926)
⑥ 통치체제 - 중앙: 3성 6부체제 (당 제도 수용 + 독자적운영: 이원적 체제, 유교식명칭) ++ 3성 6부체제 정당성(최고는 대내상) 아래 좌사정(충,인,의-부)과 우사정(지,예,신-부) 존재 선조성, 중대성까지 3성 이외에 중정대 (감찰기구), 문적원 (서적관리), 주자감 (교육, 귀족자제위주)
- 지방: 5경(전략적 요충지), 15부 (지방행정중심), 62주 - 아래에 주, 현 - 군사 : 중앙군 10위 (왕궁, 수도 경비), 지방군 ▶ 지방관이 지휘
⑦ 경제 - 조세: 곡물 (조, 콩, 보리) - 공물: 특산물 - 역: 농민 동원 - 농업: 밭농사 중심, 일부지역 벼농사, 목축/말 ↑ - 상업: 상경 용천부에 발달 - 수공업: 금속가공업 발달 - 무역: 당과무역 발달 (수출- 모피, 인삼, 불상/ 수입- 비단, 책), 일본과 무역 활발(상경-동경-일본)
⑧ 문화, 풍습 - 고분: 정혜공주묘 (굴식돌방무덤, 모줄임), 돌사자상, 정효공주묘(묘지, 벽화 有) - 온돌, 발해석등, 이불병좌상
(8) 후삼국시대 ① 후백제 (900): 견훤- 전라도지방 완산주에 건국, 중국과 외교, 군사적 우위, 신라에 적대적, 지나친 조세수취, 호족 교섭실패 ② 후고구려 (901): 궁예(신라왕족의 후예)- 원주, 강원도 중부지방에 건국, 송악도읍 -> 철원 천도, '마진' 국호 ▶ '태봉', 새로운 관제마련(9관등제, 광평성 설치-최고의 수상-), 계속적인 전쟁, 지나친 조세수취, 미륵 신앙을 이용한 전제왕권
▶▶ 모두 왕건에 의해 축출
'국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