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간 관계의 기술>>

1부: 사람을 다루는 기본 테크닉, ​1챕터: 비난하거나 비판하거나 불평하지 마라.

​사람을 다루는 것의 가장 기본은 중요한 존재로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 존재를 인정받는 느낌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렇지만 모두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이 있다. 바로 누구나 비난, 비평을 싫어한다는 것이다. 

뉴욕에서 가장 악명 높은 싱싱 교도소 (교도소 이름이 왜이렇게 귀엽..) 교도소장 루이스 로스는 이와 같이 말했다고 한다. " 싱싱 교도소에 있는 범죄자 중에서는 스스로를 악한이라 여기는 이는 없습니다. 그들도 인간이기 때문에 자기 합리화를 하고 변명을 해댑니다. 그렇게 해야만 했던 어쩔 수 없는 이유가 있었다고들 합니다. "  

즉, 흉악범 같은 교도소의 범죄자들도 스스로 자책하거나 잘못을 인정하는 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인들도 다르지 않다. 사람들은 잘못을 저질렀어도 십중팔구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실제로 내 스스로를 돌아보아도 내 잘못이 아니라고 책임을 회피하려고 했던 경험이 있다.  

심리학자 한스 셀리가 말하길, "우리는 인정을 원하는 만큼 비난과 단죄를 두려워하고 겁내한다" 라고 한다. 책의 저자인 데일 카네기는 비판은 아무 쓸모가 없다, 라고 말한다. 비판은 당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 방어를 하게 만들고 필사적으로 자기 행위를 정당화하도록 한다. 비판은 위험하다. 사람들의 소중한 자존심에 상처를 입히고 그 사람의 가치를 손상시켜 적의와 분노만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비난은 언제나 제자리로 되돌아온다. 우리가 비난하면서 바로 잡아주겠노라고 하는 상대는 아마도 스스로를 정당화하면서 오히려 우리를 비난하거나 이렇게 말할 것이다. "달리 어떻게 할 수가 없었습니다."

즉, 비판이나 비난으로는 영구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분노나 적의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를 잘 숙지하여 성공한 사람이 우리가 잘 아는 에이브러햄 링컨이다. 링컨은 젊은 시절에 비난뿐만 아니라 비웃기를 즐겨서 평생 갈 원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고 한다. 1842년에 링컨은 제임스 쉴드라는 허영심 많은 정치인을 비웃기 위해 익명으로 <스프링필드 저널>에 편지를 보내 그를 비난했다. 화가 난 제임스 쉴드는 누가 썼는지 알아내어 바로 달려가 결투 신청을 했다. 링컨은 검투에 자신이 없었고, 겁에 질렸다. 다행히 입회인의 중재로 결투는 중지되었지만, 이 일은 링컨에게 인생 통틀어 가장 무서운 사건이 되었다고 한다. 그 후 링컨은 다시는 사람들을 모욕하는 편지를 쓰지 않았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흠잡는 일도 없었다고 하니 말이다. 

링컨은 이후에, 남북 전쟁에서 남군을 완전 정벌할 절호의 기회를 놓친 미드 장군에게 불같이 화가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 링컨은 미드 장군에게 아주 온건하고 말을 조심한, 하지만 그 내용은 이번 일에 대해 심히 괴롭다는 편지를 쓴다. 나는 이 링컨이 썼던 편지를 읽으면서 이렇게 공손하게 최대한 화를 누그러뜨리고,  또 직접 보는 게 아니라 편지로 보내는 거니까,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했지만, 뒷내용을 보니 링컨은 이 편지를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링컨은 이렇게 생각했다고 한다. "내가 백악관에서 앉아 공격 명령을 내리는 것은 쉬운 일이지만 미드 장군처럼 게티즈버그에서 그 많은 피와 부상자를 봤더라면, 나도 공격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어차피 지나간 일이고, 편지를 보내면 내 마음은 풀리겠지만 그로 인해 미드 장군이 악감정을 느끼게 만들어서 그를 지휘관으로 활용하는 일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

비난 받을 사람의 입장에서는 정말 '그럴 수밖에 없었을 수'도 있고 어차피 지나간 일을 비난하면 상황은 더 '악화'될 뿐인 것은 실제로 우리가 살면서도 많이 경험하는 부분이다. 즉, 비난을 하면 득은 없고 오히려 실만 있다는 거다. 합리적으로 생각했을 때 비난은 정말 비효율적인 행위인 것이다. 

정리하자면, 1-1 챕터의 내용은 이렇다. 비난은 아무 것도 해결하지 못하고 상황만 악화시킬 뿐이다. 비난하고 책망하는 대신 행동의 이유를 이해하도록 노력하자. 그러면 공감하고 친절할 수 있다.

'인간관계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칭찬과 인정의 힘  (0) 2016.09.06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